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덤프트럭의 용량 호칭, 타이어 부하율, 타이어 부하율 상한치 1. 타이어 부하율 (1) 정의 타이어가 허용하중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하중을 부담하고 있는가를 비율로 나타낸 값 타이어가 설계상 부담할 수 있는 하중은 공기압력에 의하여 결정되며, 그 값은 규격으로 규정된다. (2) 타이어의 부하율 계산 타이어 부하율= 축하중 / (타이어의 최대 허용하중 x 타이어수) x 100% 이경우에서 겹 타이어인 타이어의 수는 2로 한다. 타이어 부하율은 최대 적재중량 상태와 자재중량(공차중량) 상태에 대해서 각각 구한다. 타이어 부하율 상한치: 건설기계의 타이어 부하율은 100퍼센트 이하이어야 한다. 다만, 최대 적재중량 상태일때 조향 축 외의 축의 타이어의 경우에는 120퍼센트 이하이어야 한다. 2. 도로 주행이 가능한 덤프트럭의 최대 규격 (1) 도로 주행 기준 현행법상 .. 더보기
건설기계 선정 및 설계시 고려사항 1. 건설기계 선정 시 고려사항 (사용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작업 목적의 적합성, 경제성 분석, 보유실태 분류, 시공기술, 성능 및 효율, 조합효율 및 호환성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건설기계를 선정한다 1) 작업 목적의 적합성: 작업 종류, 시공량, 작업장소, 토질, 지형, 운번거리, 굴삭고등 현장 제반 사항 2) 경제성 분석 단위 작업당 비용을 산출하여 경제성 고려 건설기계 경비를 산정한 경제성 평가 실시 3) 보유실태 분류: 수급이 용이한 건설기계 고려 4) 시공기술: 공사 시공에 적합한 건설기계 선정 5) 성능 및 효율: 성능이 안정되고 신뢰도가 높은 건설기계 선정 6) 조합 효율 및 호환성: 조합효율이 높고 용도가 다양하며 범용성이 좋은 건설기계로 선정 2. 건설기계의 설계시 고려사항 (구비조건).. 더보기
크레인 하중 용어의 정의 및 전방 안정도와 후방 안정도 1. 개요 크레인은 강재의 지주 및 선회장치를 갖는 건설기계로서 화물의 적재, 적하, 선회에 용이하다. 2. 크레인 하중 (1) 안정한계 (Stability Limit) 안정한계 상태: 이동식 크레인이 평탄하고 견고한 지면 위에서 화물을 매달아 올려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한계의 상태 안정한계 하중: 각 지브 길이와 각 작업반경에서 안정한계 상태가 되는 화물의 질량 안정한계 총하중: 각 붐의 길이 및 작업 반경의 안정한계 상태에서 훅, 그랩, 버킷 등의 매다는 화물의 질량을 포함한 하중 (2) 최대 정격 총하중(Hoisiting Load, 권상하중) 이동식 크레인이 구조 및 재료에 대해 견딜 수 있는 최대의 하중 지브의 길이를 짧게 하고 경사각을 최대로 한 때 (최소 작업 반경때)에 걸리는 하중에 견딜 .. 더보기
준선설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개요 준설은 장시간에 걸친 사업시행과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산업으로 준설 실시 전 충분한 사전조사와 철저한 사업 수행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준설은 일반 준설에서부터 시작하여 많은 기술적 변화를 거쳐 현재는 하상에 퇴적되어 있는 것을 제거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준설은 시행 전 준설 대상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설정되어야 한다. 2. 준설선의 선정 준설 공사는 건설기계가 다양하고 이에따른 공법도 다양하여 공사의 계획단계 및 설계 과정에서부터 공사의 특성 및 조건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적합한 건설기계를 선정하여 작용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특히 현장여건에 맞는지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Silt, 모래, 작은자갈 및 점질토 준설은 흡입방법이 효율적이고, 조밀하.. 더보기
지게차의 종류 및 특성 1. 개요 화물의 적재, 적하 작업과 단거리 화물 이동 작업에 적합하기 때문에 공장 내, 공사현장, 부두 등에서 화물 취급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규격은 들어 올림 용량 (Ton)으로 표시한다. 앞바퀴로 구동하고, 뒷 바퀴로 조향 하여 회전반경이 작다. 타이어는 전. 후륜 모두 고압 타이어를 사용하며 전면에 작업장치로 적재용 Fork와 승각용 Mast를 갖추고 있다. 동력은 주로 디젤 엔진을 사용하고 있으나, 공해 문제로 식품공장, 슈퍼마켓등 실내 작업에는 축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동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2. 특성 1) 구조 및 성능상 불량한 지역에서는 작업불가 2) 화물 적재시 포크를 수평으로 하고, 운반 중 낙하 방지를 위하여 마스터의 경사각을 5~6도로 유지 3) 내릴 때는 마스터를 12도.. 더보기
다짐기계의 종류 및 특성 1> 정적 압력에 의한 것 1) 탠덤 롤러: 평평한 철재, 원통형륜으로 마무리 다짐이나 아스팔트 포장 끝 마무리에 사용, 2축 탠덤과 3축 탠덤이 있으며 언제나 3륜이 접지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요철부에 강력한 전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발 2) 머캐덤 롤러: 3륜으로 전륜의 조향, 후륜 2단은 주행과 구동을 하면서 다짐, 작업에 있어서 전륜과 후륜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포장면의 다짐등에 큰 효과를 내는 기계. 3) 타이어 롤러: 고무 타이어를 장착 평활하게 주행하면서 다짐하는 기계, 주행속도가 빠르다. 지지력 약한 지반에 사용이 가능하다. 4) 탬핑 롤러: 원통륜에 다수의 돌기 형태의 구조물이 붙어 회전함으로써 점토 등의 다짐에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2> 진동에 의한것 1) 진동장치에 의한 진.. 더보기
굴삭운반 기계의 종류 및 구조와 특징 1> 도저 등판 능력이 좋다 나쁜 지형에서도 강력한 굴삭 성능 접지압이 낮은 압력하에서도 작업을 수행 1) 불도저: Blade 상하 작동 2) Angle 도저: 삽의 각도를 트랙터 빔에 대해서 25~30도로 조정, 수직중심선에서 토사를 좌우로 운반 3) 틸트 도저: 삽의 각도를 수평면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5cm 정도 경사를 주어 작업함 (한쪽은 낮고 다른한쪽은 높게 기울어진 토공판이 장착됨) 4) U 블레이드 도저: 베토판 모양이 U형으로 흐트러진 흙, 석탄등 경량물 대량처리에 적합 5) 레이크 도저: 배토판 대신 Rake형 부속물 장착, 농지 개간시 나무뿌리를 뽑고, 도로, 댐 공사시에 운반된 흙속에서 큰돌을 골라내는 작업에 사용 6) V 플로우 도저: V형 플로우 장작으로 제설 작업에 적합 7).. 더보기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원리 1> 개요 축전지는 전기에너지를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화학에너지로 바꾸어 저장하는 기기 2>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 Pb(음극판) + 2H2SO4(전해액) + PbO2(양극판) PbSO4(음극판) + 2H2O(물) + PbSO4(양극판) 방전을 하면 전해액중 유산분은 감소하여 물이 생성 되므로 전해액의 비중은 저하하고, 저하된 양은 방전양에 비례한다. 즉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방전량과 충전량을 알 수 있다. 충전이 되면 양극판에서 유산분이 환원되므로 전해액의 비중은 다시 상승한다. 충전완료 후 충전 전류는 전해액 중의 물을 전기분해 하여 양극에서는 산소, 음극에서는 수소를 발생시킨다. 3> 과방전 충전 부족 상태에서 오랜시간 사용하면 극판의 작용성질인 과산화연(PbO2) 또는 Pb을 불환원.. 더보기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