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 1. Loop Check (루프 체크)
"전선이 잘 연결되어 있고, 계기와 DCS가 제대로 통신하는지 확인하는 작업"
💡 비유:
- 병원에서 체온계를 팔에 붙여봤는데 온도가 화면에 안 뜬다면?
→ 체온계(센서)와 컴퓨터(모니터)가 제대로 연결 안 된 것이죠. - Loop Check는 바로 이런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작업입니다.
✅ 예시:
- 압력계(PT)를 설치했는데, DCS 화면에서 압력값이 안 보인다?
→ 배선 잘못됐거나, 설정 오류 → 이걸 Loop Check에서 잡아냅니다.
👀 체크 항목:
- 센서 → 배선 → DCS (신호가 잘 흐르나?)
- 벨브 → 솔레노이드 밸브 → DCS (제어 명령이 도달하나?)
🟢 2. Function Test (기능 시험)
"기계나 시스템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비유:
- 체온계 연결이 잘 됐는지 확인했다면 이제 사람 체온을 재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는 거죠.
- 루프는 연결 확인, 펑션 테스트는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입니다.
✅ 예시:
- 팬 시동 버튼을 눌렀더니 팬이 도는지?
- 압력값이 10 bar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밸브가 닫히는지?
- 안전 알람이 울릴 조건일 때 실제로 경보가 뜨는지?
👀 체크 항목:
- 밸브가 열고 닫히는가?
- 펌프가 정상 기동되는가?
- 인터락(Interlock)이 작동되는가?
🔧 두 개를 요약하면?
구분Loop CheckFunction Test
목적 | 신호 연결 확인 | 기능 동작 확인 |
대상 | 센서, 배선, 신호 | 밸브, 펌프, 팬 등 실제 장비 |
방식 | 센서에 신호 넣어 보고 DCS에 전달 확인 | 버튼 눌러 장비 작동시키고 반응 확인 |
예시 | PT값이 DCS에 뜨는가? | PT값이 높아지면 밸브가 닫히는가? |
💬 기계 엔지니어라면?
- 루프 체크는 계장/제어 엔지니어 영역이지만,
- 펑션 테스트는 기계팀과 계장팀이 함께 협업해야 합니다.
(예: 팬이 실제로 도는지, 밸브가 실제로 여닫히는지 기계팀도 봐야 함)
반응형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FB 보일러 Chemical Cleaning 전, Spring Hanger 핀 제거 (1) | 2025.06.24 |
---|---|
Urea 분사의 목적 (보일러 내부 분사) (0) | 2025.06.20 |
커미셔닝 활동의 이해: Loop Check부터 BPS까지 (1) | 2025.06.20 |
ASME 코드 섹션별 적용 대상 및 구분 및 하이드로 압력 (1) | 2025.06.13 |
Sumitomo SHI FW 탄소포집 기술 (2) | 2025.06.13 |